2010년 1월 12일 화요일

[팁][MySQL] 외부에서 원격으로 MySQL 접속하기

[팁][서버관리] 외부에서 MySQL 접속하기

[기본 지식 - MySQL]
- 기본 포트 : 3306
- 접속허용 호스트
 % : 모든 외부 접속허용
 localhost : 내부접속만 허용
 xxx.xxx.xxx.xxx (IP) : 명시된 아이피에서만 접속허용

[체크 포인트]
1. 방화벽
 - 방화벽 3306포트 허용확인 (내부 <-->외부 모두 확인)

2. /etc 설정확인
 - 기본설정(/etc)상 호스트 허용여부
 host.allow
 hosts.deny

3. MySQL상 접속허용 호스트 지정 상태
 - DB생성 및 DB사용자 생성시 확인할 것

4. my.cnf (MySQL 설정파일 확인)
 - 아래 2개 사항 주석처리 할 것
#bind-address = 127.0.0.1
#skip-networking

## 외부접속용 DB서버 만들기 작업 중..

2010년 1월 6일 수요일

[팁] 윈도우7에서 KT 와이브로 사용가능 - 2009.12.30

윈도우7에서 와이브로 드라이버 및 프로그램이 드디어 실행이 된다.
작년 12월 30일 날짜로 공식홈페이지에 올라온 자료인데.. 모르는 분들이 많아 포스팅해 본다.


아후라가 가지고 있는 드라이버는 백업차원에서 업로드 해 놓을까 한다.
압축파일은 "압축시대"에서 8메가씩 분할압축한 것이다.(링크 : 압축시대 / 키플러님)

ㅇ 모델명 : KWD-U1300

    첨부 화일을 내려 받으신 후 노트북에서 실행하시면
    SHOW WIBRO CM(Connection Manager, 접속 프로그램)과 드라이버가 함께 설치됩니다.
    - 프로그램을 설치하시려면 모뎀을 PC USB포트에 장착하시고 설치프로그램을 실행하십시요.
    - 프로그램 설치 중 PC에서 모뎀을 분리하지 마십시요.

ㅇ 주요 개선사항
    - Windows 7 호환성 지원
    - 접속 성능 향상

ㅇ 제조사 : 모다정보통신

ㅇ 제조사 A/S : 02-3487-0700

ㅇ KT WIBRO CM 버전 : 2006

ㅇ 펌웨어 버전 :  0.2.7.0:1.8.7.1

ㅇ 첨부파일 내용
   KT_WCM_KWD_U1300_200612189.exe: KWD-U1300 접속프로그램

ㅇ 사용운영체제: Windows XP/Vista(32bit)/Windows 7(32bit) 지원

ㅇ 주의사항
- SHOW WIBRO CM을 설치후, 모뎀을 PC에 꼽고 접속프로그램을 처음 실행하면 펌웨어 업데이트가 시작됩니다.
- 펌웨어 업데이트 진행중에 모뎀을 PC에서 절대로 뽑지 마십시오. 모뎀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접속 프로그램을 실행 할 때마다 접속프로그램에 포함된 펌웨어 버전과 모뎀의 펌웨어 버전을 비교하여 버전이 다르면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첨부 화일을 내려 받으신 후 노트북에서 실행하시면
    KT WIBRO CM(Connection Manager, 접속 프로그램)과 드라이버가 함께 설치됩니다.
    KT WIBRO CM을 설치 후, 모뎀을 PC에 꼽고 접속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펌웨어 업데이트가 시작됩니다.
    - 펌웨어 업데이트 진행중에 모뎀을 PC에서 절대로 뽑지 마십시요.
       모뎀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접속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마다 접속프로그램에 포함된 펌웨어 버전과 모뎀의 펌웨어 버전을 비교하여, 버전이 다르면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ㅇ 주요 개선사항
    - Windows 7 호환성 지원
    - 접속 성능 향상
ㅇ 제조사 : 삼성전자
ㅇ 제조사 A/S : 1588-7285, 1588-3366
ㅇ KT WIBRO CM 버전 : 2006
ㅇ 펌웨어 버전 : CK26
ㅇ 첨부파일 내용
     KT_WCM_SWT_H200K_2006.12219_XP_VISTA_WIN7.exe : SWT-H200K 접속프로그램
ㅇ 사용운영체제: Windows XP/Windows Vista(32bit)/Windows 7(32bit) 지원

2010년 1월 5일 화요일

[웹호스팅] 저렴한 무제한 웹호스팅 - 웹호스팅패드 - webhostingpad.com (WebhostingPAD)

[사족]
 관리하는 홈페이지가 많아지고 DDOS공격 등이 많이 발생해서 백업용도로 다시 한번 외국 웹호스팅회사를 선택했다. 예전에 2년정도 다른 미국계 회사에서 무제한 계정으로 사용한 적이 있는데 접속속도가 너무 안나와서 용도가 없었다.

지금도 마찬가지로 속도는 정말 안나오지만, 백업용도로 쓰기에는 3년에 8만5천원이라는 매력적인 가격이 또한번 외국계 호스팅 회사를 선택하게 한다.

우리나라와 미국과의 서버연결라인도 느리고,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대역폭도 우리나라와는 너무 차이가 난다.
그래서 홈페이지를 실제로 운영하는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기를 바란다.

[개요]
1. 가격
달러화 : 3년이상 선택시 1개월당 1.99달러, 71.64달러 /3년
한화 : 85,968원/3년 (환율 "1200"기준) - 1년에 약 29,000월

2. 제공 내용
* 새로 신청할 생각이 있는 분은 제한사항을 꼼꼼히 읽어 보세요.

가. 무제한 용량 (주의)
 - 1파일당 500메가까지 업로드 가능
 - 웹에서 업로드는 10메가 까지 가능
 - FTP 업로드 속도는 초당 30KB정도... (한국에 비해 속도는 정말 극악이다.)
 - 단 CPANEL이 Filenamager로 올리면 30 ~ 150KB로  FTP로 올리는 속도보다 2배이상 빠름

나. 무제한 트래픽 (주의)
 - 하나의 접속당 다운로드 속도가 100KB정도로 제한된다.
 - 제공 회사 입장에서는 무제한 트래픽을 일으켜도 하루에 소모되는 트래픽은 사실 별것 아닌게 된다.

다. 무제한 도메인연결 (장점)
 - 독립도메인을 추가적으로 호스팅할 수 있다.
 - 각각 도메인에 대해서 "FTP계정 / MySQL DB / POP3 E-mail"을 발급해 줄 수 있다.
 - 이 기능을 이용하면 사실 웹호스팅 회사를 만들수도 있다. (속도는 극악이지만...)

라. 무제한 서브도메인 (장점)
 - SUB.domain.com 형식의 SUB도메인을 무제한으로 만들 수 있다.
 - blog.domain.com / down.domain.com 등의 도메인으로 각각 다른 서비스를 할 수 있다.

마. 무료 도메인 지원 (주의)
 - 결제할 때 도메인을 하나 준다고 되어 있는데.. 3년 서비스를 신청하더라도 1년만 도메인을 지원한다.
 - 1년이 지나면 연간 15달러 정도의 도메인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 따라서, 그 전에 우리나라 도메인업체로 이관하면 된다.

바. 기타 : MySQL 무제한 생성가능 / E-mail 무제한 생성가능
[ 스크린샷 - Webhostingpad.com 의 서비스 제공내역 ]


2010년 1월 4일 월요일

[웹서비스][포포로] 포토샵보다 더 포토샵다운 온라인 포토샵 - 트루디자인

[무엇?]
플래시(Flash)로 웹상에 Adobe 포토샵과 같은 기능을 구현한 이미지 에디터이다.

홈페이지 : 포포로 - http://www.poporo.co.kr / 제작사 - 탭스랩(주)
서비스명 : 트루디자인 포토샵 버전 (Flash)

   [스크린샷 -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서 실행한 모습 ]

[소개]
Adobe에서 운영하는 photoshop.com에서도 웹버전의 이미지 에디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기는 하나,
익숙하지 않은 Express버전을 제공하고 있고, 기능도 단순 수정 등 별다른 기능은 제공하지 않고 있다.

거기에 비해 포포로는 가장 포토샵에 근접하는 UI에 더해서, 기능까지도 포토샵의 기본기능을 충실히 실행하고 있다.
웹용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으로는 가장 기술력이 뛰어나다고 판단되는 프로그램이다.

홈페이지에 여러가지 버전이 있으나, 플래시 버전의 "트루디자인 포토샵버전"이 가장 유용한 것 같다.
(ActiveX버전은 빠르고, 단축키, 외부파일 붙여넣기 등의 기능을 지원하지만, 레이어를 지원하지 않는다.)

- 지원포멧 : jpeg, gif, png, bmp , tdw(자체 포멧 : 레이어 지원)


[ 장점 ]
 - 스크린샷에처럼 포토샵을 사용할 줄 아는 사용자은 바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익숙하다.

 - 웹 프로그램답지않게(?) 프로그램의 실행속도도 빠르고 작업속도가 빠르다
  ( 플래시 버전이라도, 1024x768정도의 웹용 이미지를 작업하는데는 아무 지장이 없다.)

 - 프로그램 설치도 필요없고, 가입도 필요없고, 로그인조차 할 필요가 없다. 단지 링크만 알고 있으면 된다.

 - 레이어 개념이 있다. 텍스트레이어도 새로운 레이어로 생성이되어 추후 수정이 가능하다.



[단점]

 - 작업은 웹헤서 하지만, 파일저장은 사용자의 하드디스크로 저장해야 한다.(웹 저장공간이 없다.)

 - 로컬 하드디스크에 있는 파일은 "복사" 및 "붙여넣기"가 되이 않는다. (프로그램 내에서는 가능하다.)

 -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단축키가 거의 없다. 

 - 단축키가 없기 때문에 화면 확대/축소, 선택 및 선택해제 등.. 을 모두 마우스로 작업해야 한다.


[사족]

크롬의 "웹 애플리케이션 바로가기 만들기"기능을 이용하면, 완전한 독립 프로그램인 것 같다.

[ 스크린샷 : 크롬 브라우저의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된 트루디자인 ]


* 보너스 : 아래는 포포로 싸이트의 스크린샷
 - 다양한 서비스를 볼 수 있다. 특히 "트루디자인 애니메이터" 의 경우도 상당히 유용한 서비스이다.

[ 본 글은 "불의 신전"(http://ahura.co.kr)에서 발행한 "최종 편집본"입니다. 저작권은 아후라(ahura.co.kr@gmail.com ) 에게 있으며, 이 저작권 문구를 포함하고, 원문 훼손을 하지 않으시면 어디서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팁][윈도우7] 프리패치 수퍼패치를 최대한 쉽게 이해해 보자

"부팅과 프로그램의 실행을 빠르게 해주는 PreFetch, SuperFetch에 대해 알아 보자"

[프리패치(PreFetch)란?]
한마디로 중요한 파일을 먼저 읽어들여서 부팅이나, 프로그램을 빠르게 실행되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프리패치는 2가지 중요한 기능이 있다.
1. 부팅시
윈도우 XP에서 처음 도입된 개념으로 자주 사용되는 시스템설정파일(드라이버, 중요한 시스템파일)을 최적화해서 일정영역에 미리 저장해놓고 그 파일들을 부팅시 읽어들임으로써 부팅을 빠르게 한다.

2.프로그램 실행시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파악해서 일정공간에 "실행되는 프로그램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일정부분을 "미리 램 혹은 페이지파일에 저장"해 놓는다.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시키면, 미리 읽어놓은 파일들 때문에 빠르게 실행되는 것이다.



[수퍼패치(SuperPatch)란?]
 비스타에서부터 사용된 기능으로, 프리패치의 개념을 확장, 좀더 지능적으로 발전시킨 기능이다.
추가적으로 (랜덤 억세스가) 느린 하드디스크 외에도 "레디부스트"라는 기능으로 USB메모리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간판한 조정 프로그램 - TweakPreFetch]
홈페이지 : TWEAKPREFETCH v2.2.1.1
다운로드



[ 스크린샷 - 각각 기능의 4가지 옵션들 / Clear Prefetch : 현재까지의 Prefetch 데이터를 지우는 기능 ]


[그러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아후라는 일단 위의 [스크린샷] 같이...
"프리패치는 부팅시"에만 사용하고, "수퍼패치는 프로그램"만 사용하는 것으로 세팅을 놓았다.
한동안 사용해 본 것으로는 크게 문제가 없고 체감상 속도는 조금 빨라진 것 같다.

다른 분들은.. 메모리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옵션을 바꾸어 가며 최적의 옵션을 찾아나가시길 바라며, 메모리가 아주 작은 분(512MB이하)들은 아예 끄고 작업을 하시는 것도 단일 프로그램 작업시에는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사족]
예전의 포스팅대로 집의 구형PC에서 윈도우7을 최적화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예전보다는 많이 빨라졌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지만.. ( [팁][윈도우7] 윈도우7을 XP만큼 가볍게 쓰기 )
요즘 작업을 집에서 많이 하니.. 윈도우7을 장시간 사용시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느려지는 경향이 있는데..
 좀 더 윈도우7을 최적화해서 사용해 볼까.. 하는 마음으로 글을 쓰게 되었는데...
이 설정으로 효과를 볼 수 있을지..^^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어떤 부분에서는 정말... 선도하는 기업이 아니라.. 따라가는 기업인가보다.
예전 글에서 위도우7의 XPM과 OS/2의 "심리스"모드가 닮아있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

이번 글에서도 MS에서 따로 개발된 기술이 보이지 않고, 이전의  개념을 확장하고 세련되게 바꾼정도.. 로 보인다.

프리패치의 경우 "부팅시 프리패치"는 리눅스의 커널컴파일 개념과 유사하고 ..

"프로그램 실행시 프리패치"는 1992년 발표된 IBM OS/2 2.0의 프로그램 프리로드(PreLoad ??) 기능과 유사하다.
( 가상 윈도우 3.1의 프로그램 실행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DLL 등의 모듈을 부팅시 미리 메모리 상에 로드시켜 놓는다.)


[ 본 글은 "불의 신전"(http://ahura.co.kr)에서 발행한 "최종 편집본"입니다. 저작권은 아후라(ahura.co.kr@gmail.com ) 에게 있으며, 이 저작권 문구를 포함하고, 원문 훼손을 하지 않으시면 어디서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2010년 1월 3일 일요일

[팁][윈도우] 링크만들기 차이점 - Junction 과 내부 명령어 MKlink

"비스타에서 도입된 가상링크(소프트링크,하드링크,정션 등)를 생성하는 명령 mklink와 소프트링크(정션)기능을 XP에서도 구현하는 junction 명령어를정리했다."

[호환성]
가.  두 명령어는 호환성이 없다.
 - 예를 들면, XP에서 junction.exe 명령으로 만든 링크는 비스타, 윈도우7에서 읽을 수 없다.
나. 가상링크 기능은 NTFS포멧만 지원한다. (FAT32 등에서는 "바로가기"를 사용해야 한다.)

[설명]
비스타, 윈도우7의 내부 명령어인 mklink 와 마이크로소프트의 테크넷에서 제공하는 XP용 Junction 은 링크를 만든다는 점에서는 같은 기능을 하고 있으나. 서로 호환성은 없다.

하드링크, 소프트(심볼릭)링크, 폴더 교차점 등 많은 옵션을 지원하는 mklink에 비해 Junction은 딱 하나 "소프트링크"만 지원하고 있다.


[ Junction v1.05 - 2000/XP/2003에서 심볼릭 링크만들기]

다운로드 : Junction v1.05
소개 링크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ysinternals/bb896768.aspx //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넷
설명 : http://westzero.net/30 // 서영이네집
명령 : junction "링크로 만들어지는 폴더" "실제 작업폴더"
명령 : junction "e:\My Dropbox\Work" e:\Work

junction /?
..
usage: JUNCTION [-s] [-q] <file or directory>
       -q     Don't print error messages (quiet) // 출력메세지를 표시하지 않는다.
       -s     Recurse subdirectories // 서브디렉토리까지 링크를 만든다.

usage: JUNCTION [-d] <junction directory> [<junction target>]
       -d     Delete the specified junction // 링크 지우기
example: junction d:\link c:\winnt


[ mklink - 비스타, 윈도우7에서 제공하는 링크명령 ]
F:\>mklink /?
기호화된 링크를 만듭니다.

MKLINK [[/D] | [/H] | [/J]] 링크 대상

        /D      디렉터리 기호화된 링크를 만듭니다. 기본값은 파일 심볼
                링크입니다.
        /H      심볼 링크 대신 하드 링크를 만듭니다.
        /J      디렉터리 교차점을 만듭니다.
        링크    새 심볼 링크 이름을 지정합니다.
        대상    새 링크로 참조되는 절대 경로 또는 상대 경로를
                지정합니다.

더 자세한 설명 : http://oloklir.tistory.com/58 // 올로클리르

[사족]

일부분 호환이 될 줄 알았는데 다시 확인해 보니 호환이 되질 않는다.
틀림없이 윈도우7에서는 인식한 것 같았는데....????

그래서.. 수정했다. 수정 전 글을 읽으신 분들사과의 말씀을 전한다. ㅠ.ㅠ



[ 본 글은 "불의 신전"(http://ahura.co.kr)에서 발행한 "최종 편집본"입니다. 저작권은 아후라(ahura.co.kr@gmail.com ) 에게 있으며, 이 저작권 문구를 포함하고, 원문 훼손을 하지 않으시면 어디서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2010년 1월 2일 토요일

[팁][MySQL] 깨진 테이블 복구

[문제]
가끔씩 DB가 Crash되거나 불안정하게 작동할 때 혹은 "mysqldump"시 에러가 날 때 인덱스를 다시 설정하는 과정이다.
실제 물리적인 하드에 에러가 나서 DB파일인 MYI파일이 손상되었을 때는 적용을 해도 완전히 복구되지 않을 수 있다.

[설정]
필수 : root 권한으로 로그인 해야 한다.
가정 : DB명 = test / 깨진 테이블명 = crash 로 가정하고 설명을 진행한다.
정보
- 일반적으로 "/var/lib/mysql/DB명"에 테이블명.MYD/테이블명.MYI/테이블명.frm 3개 파일이 생성된다.
- 여기에서는 /var/lib/mysql/test/crash.MYD (crash.MYI crash.frm)로 가정한다.

[해결과정]
1. MySQL데몬을 중지한다.
2. 모든 데이터베이스 원본파일들을 백업한다.
3. 복구명령을 내린다.(= myisamchk)
4. MySQL데몬을 다시 시작한다.

[내용]
# /etc/rc.d/init.d/mysqld stop  // 데몬 중지
# tar cvfpz 20010102-DB_test_crash-backup.tgz /var/lib/mysql/*   // 만약을 위해 백업
# myisamchk -r /var/lib/mysql/test/crash.MYD    // 복구명령
# /etc/rc.d/init.d/mysqld start // 데몬 재시작

[응용]
정상적인 DB파일들이라면, myisamchk 으로 DB를 체크하는 것은 별 문제가 없다.
한번에 깨진 테이블과 혹시 모를 나머지도 한꺼번에 체크를 하자.

# myisamchk -r /var/lib/mysql/test/*.MYD    // 모든 테이블 파일 복구명령

혹시 한번으로 복구가 되지 않으면 한번더 해보자. (실제 요번 복구는 3번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사족]
mysqldump를 통해 DB를 백업하는데 많이 쓰는 테이블(접속경로를 기록하는 테이블)이 크래쉬되었다고 나와서 복구를 하는 과정에
깜짝 놀랐다.. 이 테이블을 고치니.. 갑자기 "공지사항"게시판에 글들이 모두 날라가는 사고가 있었고....
"공지사항"을 복구하니 나머지 2개의 게시판의 글이 다 날라가고....

잠시 당황했던 정신을 차리고 하나하나 순서대로 진행을 하니..
다행히 모든 테이블이 살아났다. (여기서 백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달음..ㅠ.ㅠ 땀 삐질..~~)
공교롭게도 얼마전 윈도우7을 까는 과정에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도 날라가 버려서... 백업해 두었던 모든 파일이 날라가 버리는....으..

결론은.... 백업을 생활화 합시다. (죽도록 후회말고 매일 매일 백업 또 빽업...... ^^)

[ 본 글은 "불의 신전"(http://ahura.co.kr)에서 발행한 "최종 편집본"입니다. 저작권은 아후라(ahura.co.kr@gmail.com ) 에게 있으며, 이 저작권 문구를 포함하고, 원문 훼손을 하지 않으시면 어디서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