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월 17일 토요일

[윈도우7] 기본 프로그램 - 캡처도구

[ 캡처 전문프로그램인 pickpick 이나 오픈캡쳐, 칼무리 등의 전문적인 도구보다는 기능이 적지만, 윈도우7 내장 프로그램치고는 상당히 완성도가 있다. ]

 

캡처 도구

[ 스크린 캡처 - 실행된 모습 ]

 

 

  • 소개


    - 라이센스 : 윈도우7에 기본내장

    - 기능

    1. 스크린 캡춰 - 전체 화면영역이 흐려지고, 캡쳐될 화면은 선명해 진다.

    Capture_sw_03

    2. 형광펜 및 펜 툴로 중요부분 표시 가능

    Capture_sw_01 

    3. 저장 방식 : png, gif, jpg , mht(웹페이지 보관파일)

    - 아쉬운 점
    1. 글자(text)를 넣을 수 없다.
      글자를 넣으려면 클립보드로 복사해서 그림판 등의 도구에서 작성해야 한다.

    2. 실행취소 기능이 없다.
      형광펜을 그은 부분은 하나의 영역으로 저정되어 지우개 도구로 지울 수 있으나, Ctrl+Z를 눌러 실행취소를 하는 습관이 있는 사람은 불편하다. (왜 기본 기능키를 넣지 않았을까?)

 

Capture_sw_02 [ 스크린 캡쳐 – 지우개툴 / 왼쪽은 형광펜 / 그 왼쪽은 다양한 펜 ]

 

 

[사족]

윈도우 7에 기본으로 내장된 프로그램들은 참으로 다양하다.

비싼 상용프로그램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완성도를 가진 프로그램을 기본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네로 등의 프로그램이 없어도 “데이터 CD/DVD굽기”나  “ISO이미지 파일 굽기” 등의 기능이 윈도우7에는 기본으로 들어 있다.

 

또한 고스트나 트루이미지 같은 “하드디스크 백업프로그램”도 내장되어 있어, 이제는 윈도우7만 가지고도 유사시 이전의 윈도우 사용환경으로 깨끗하게 돌아갈 수 있다.

 

(XP에서부터 제공되었던) “ZIP압축기”같은 경우에도 기본 OS에 내장된 터라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아무런 프로그램이 없을 때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등등… 윈도우7에는 완성도 높은 수많은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빈도가 높은 것을 하나씩 소개하고자 한다.

 

 

[ 본 글은 "불의 신전"( http://ahura.co.kr)에서 발행한 "최종 편집본"입니다. 저작권은 아후라( ahura.co.kr@gmail.com ) 에게 있으며, 이 저작권 문구를 포함하고, 원문 훼손을 하지 않으시면 어디서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2009년 9월 21일 월요일

[팁][MySQL] 관리자 암호를 까먹었을 때 리셋하는 방법

[문제]
MySQL 관리자 즉 root 의 비밀번호를 분실하였거나, 다른 관리자가 변경해 놓고 휴가를 가 버리고.. 연락이 안될때.. 등의 경우.

[해결과정]
1. MySQL 데몬을 중지한다.
2. 패스워드가 있는 테이블을 무시하고(건너뛰고) 데몬을 띄운다
3. 루트로 로그인해서 루트의 비밀번호를 다시 설정한다.
4. 권한을 다시 로드한다. (이후 로그아웃).
5. 정상적으로 데문을 다시 실행한다.

[내용]
# MySQL 데몬중지
# mysqld_safe --skip-grant-tables
# mysql --user=root mysql
mysql> 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new-password') where user='root';
mysql> flush privileges;
mysql> exit;
# MySQL 데몬중지
# MySQL 시작

* 복사용 정리
sudo /etc/init.d/mysql stop // 설정상황에 따라 다름
mysqld_safe --skip-grant-tables // 경로확인 할 것
mysql --user=root mysql
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
') where user='root';
flush privileges;
exit;
sudo /etc/init.d/mysql stop // 설정상황에 따라 다름
sudo /etc/init.d/mysql start // 설정상황에 따라 다름 


[사족]
상당히 오래간만에 올리는 글이 이런 팁이라서 조금 .... ^^
오래간만에 현업에서 컨설팅일을 하다보니 방향성이 조금 빗나가서 일정이 많이 지체되고 있어서
여유가 없었네요.
 여유가 되는 대로 업데이트 해야 할 글도 있는데.. ㅠ.ㅠ
그럼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찾아와주시는 방문객들께 감사를 보냅니다.

2009년 9월 13일 일요일

[CD 레코딩] 단지 DVD를 굽기만 한다면 네로(Nero)를 무료로 쓰자-한글지원 Nero 9 Free Edition(V9.4.12.3)

[ 단지 CD/DVD를 복사하고 굽는 것이라면, 레코딩 프로그램의 최강자 네로를 무료로 쓰자.단 조심할 것은 설치 과정중에 Ask.com의 툴바를 설치하려 한다는 것.. 반드시 체크를 해제하고 설치할 것.]
수정-2009/09/13) 글을 쓴 시점에서는 라이센스에 대한 별 언급이 없었으나, 오늘 확인해 보니 "개인의 비상업적인 용도"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예전엔 완전히 무료로.. 라는 말을 사용했는데... - 맨 아래의 스크린샷 참고)


 

[스크린 샷 - 네로의 실행 화면]

 

  • 소개
    - 라이센스

    기업용 프리웨어 (Nero와 Ask.com의 제휴 프로그램)
    개인용 비상업적인 용도

  • - 프로그램 소개

    1. 프로그램명 : Nero 9 Free Edition (version 9.4.12.3) - 한글 지원
    2. 링크 : 프로그램 홈페이지 / 홈페이지내 다운로드 링크 / 직접 다운로드 링크
    (주의 : 프로모션이 끝나면 링크가 막힐 수 있습니다.)
    .
    3. 실행환경
    Windows XP SP2 or SP3(32bit/64bit), Windows Vista, Windows 7
    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 2005 with SP2
    .
    3. 제한사항

    **** CD-ROM, DVD의 복사와 데이터 쓰기만 제공됩니다.

    ( 다시 말하면, 오디오시디만들기, 동영상 시디 만들기 등의 부가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CD/DVD만들기만 할 수 있다는 이야기. ^^ )
    .
    4. 설치상 주의 사항

[스크린 샷 – Ask.com 툴바를 설치하라는 화면 / 당연히 체크하면 안되겠죠. ^^]


 

[스크린 샷 – 라이센스 키는 자동으로 입력이 됩니다.]


 

[스크린 샷 – 당연히 등록읗 해야겠지요. 우리는 무료버전의 정품사용자 입니다.]


 

 

  • 사족

NERO.COM과 Ask.com의 제휴프로그램으로  가장 기본적이고 많이 쓰이는 기능만 무료로 공개를 했다. 아마, 공짜 시디롬 레코딩 툴들이 많아지는 터라 네로사에서도 자구책으로 출시한 것이 아닌가 싶다.

[스크린 샷 – 홈페이지의 무료제공 페이지.]




한시적일 수도 있을 것 같으나 얼른 받아서 보관하는 것이 좋겠다.

(정식 메뉴가 있으니 한동안은 유지할 것 같기는 하다. ^^)

 

[ 본 글은 "불의 신전"(http://ahura.co.kr)에서 발행한 "최종 편집본"입니다. 저작권은 아후라( ahura.co.kr@gmail.com ) 에게 있으며, 이 저작권 문구를 포함하고, 원문 훼손을 하지 않으시면 어디서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2009년 7월 18일 토요일

[네트워크] 자신의 IP를 감추자 - NotMyIP (개인용 프리웨어)

[사족]

유독 요즘은 자신의 IP를 노출시키는 서비스가 많다.

물론, 유용한 서비스의 경우 한명의 사용자가 여러개의 계정과 이이디를 가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고,

(예전에는 익명의 “다음(Daum)” 아이디를 300개나 가지고 있는 사용자를 본 적이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개인정보를 보관하기 위함이다.

(무슨 말인지는 아시는 분은 아시리라 생각이 된다. 아후라의 생각은 자신의 IP 또한 자신만의 개인정보라고 생각되는데.. 아닌가???)

 

아후라가 이 소프트웨어를 소개하는 것은

단지.. live.co.kr에서 아이디를 여러개 신청을 하고 싶은데 IP당 2~3개의 아이디밖에 신청을 하지 못하는 것 때문에 개인 PC의 아이피를 바꾸어 보자는 취지에서 소개하게 되었다.

 

절대 다른 목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 아고라 등의 게시판에서 익명의 효과를 낼수 있는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마시기 바란다.

 

[ 사용법]

1. 기능 : 단순히 웹브라우저 상의 IP를 다른 아이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2. 사용법

- 간단하다. 설치하고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고..

 

 

 

큼지막한 “CHANGE IP”버튼을 누른 후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면 된다.

 

3. 확인

변경된 IP를 확인하고 싶으면 http://ip.pe.kr 에 방문해 보시기 바란다.

 

4. 주의

여기서 변경된 IP는 한국 IP가 아니므로 한국IP를 체크하는 서비스에는 접속이 불가할 수가 있다.

 

[참고]

링크 1 : http://www.mydigitallife.info 기사 중에서 인용

링크 2 : 프로그램 홈페이지

notmyip.exe

프로그램 다운로드

 

 

[ 본 글은 "불의 신전"(http://ahura.co.kr)에서 발행한 "최종 편집본"입니다. 저작권은 아후라( ahura.co.kr@gmail.com ) 에게 있으며, 이 저작권 문구를 포함하고, 원문 훼손을 하지 않으시면 어디서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2009년 7월 4일 토요일

[길라잡이] 중소기업 전산관리자를 위한 오피스 프로그램 도입 절차 (문서표준화, 업무조정, 대안 오피스)

[ 이 문서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

 

[요약]

문서작업에 필수적인 “오피스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전에, [문서표준화, 업무프로세스 정립]을 통하여, 비싼 “MS-오피스”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기업 전체 단위로도 비용이 저렴한 혹은 무료인 “대안 오피스"프로그램을 도입하는 절차를 소개하고자 한다.

 

[ 대안오피스의 종류 ]

  • 무료 패키지
    - 오픈오피스
    - IBM 심포니
  • 무료 온라인 서비스
    - 구글 문서(Google Docs) ( 오프라인 : 구글 기어스 + 구글 크롬 브라우저)
    - Zoho Office
    - 싱크프리 온라인 (온라인 저장공간 동기화 프로그램 제공)
  • 유료 패키지 + 온라인
    - 싱크프리 오피스 데스크탑 (온라인 저장공간 1GB 포함)
    - 우리오피스 ( 온라인 저장공간 : 회원 등급별 차등 제공)

 

[사전 지식]

** 전체 인원 중 사무인원이 “20명 이상/200명 이하”인 중소기업을 가정하고 진행하겠다.

 

경우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 엑셀, 파워포인트, 워드 등으로 대표되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 이하 MS-오피스”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MS-오피스의 경우 기업라이센스를 구입하더라도 카피당 “사무용 컴퓨터 본체” 1대값 정도는 지불해야 할 것이다.

 

이전에 포스팅한 “[길라잡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MS-OFFICE)의 대안 오피스 프로그램”이라는 글에서도 밝혔듯이 MS-오피스를 대체할 수 있는 “완벽한” 대안은 없다. 따라서, “MS-오피스”의 구입을 최소화하고, 호환이 되는 “대안 오피스"를 전사적으로 도입하여 소프트웨어의 도입비용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도입하기 전 검토사항]

우선, “문서를 표준화”하고, “문서(Document)의 작업흐름(Workflow)을 조정”하는 과정을 거쳐, “전사적 자원의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ERP)”의 큰 틀을 짜기 위한 전단계를 시행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향후 ERP를 필수적으로 도입해야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중소규모의 기업에서는 ERP까지 도입할 필요는 없다.)

 

더불어, “대안 오피스”를 전체적으로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MS-오피스는 부서당 1카피 등 일정 이상 구매를 할 생각을 해야 한다.(이유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완벽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에 “ERP를 도입”을 위한 “컨설팅”과정에서 필자가 가장 강조하는 것이 바로 “문서 표준화", “업무 프로세스 확립"이다.

(규모가 꽤 큰 중소기업일지라도 실제 내부를 들여다 보면 주먹구구식 혹은 중구난방.. 이라는 말이 딱 들어맞는 운영을 하는 회사들이 의외로 많다.)

 

(문서의 가장 기초가 되는) “기안서(품의서)“에 대한 “표준서식”부터 만들고, 각 업무별 “표준서식" 등 의 “사내 공통 표준문서"를 우선 만들어야 한다.

이 문서들을 작업할 “호환 프로그램"은 이 후에 생각해도 늦지 않다.

( 실제로 같은 업무인데도 부서별로 다른 양식의 기안서를 가지고 있는 업체가 상당히 많다.)

 

 

[도식 : 문서 흐름도.// 추후 작성]


다음의 3단계의 과정을 생략없이 순서대로 진행해야 가장 효율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1. 문서 표준화
    일정 규모 이상이 되는 기업이면, “문서의 표준화” 및 “업무 프로세스 확립"등은 중요한 생존전략이 된다. 기업내의 개인간, 직급간 또는 부서간 업무를 원활하게 흘러가게 할 수 있는 문서적인 약속인 “표준문서"가 만들어져 있다면, 이제 이 문서를 생산하고, 수정하고, 복제하고, 교환하는 업무을 하기 위한 수단인 “오피스 프로그램”을 선정하면 된다.
    .

  2. 업무 프로세스 (재)정립 및 담당자 지정
    문서의 표준이 결정되었으면, 다음으로는 문서를 어떻게 흘러가게 하며, 통제할 것인가하는 문제가 두번째이다.

    즉, 사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문서 작성용 오피스”는 “호환 소프트웨어”를 쓰고,

    대외적으로 주고 받는 문서들을 위해서 MS-오피스 프로그램도 일부 구입해야 한다.

     부서 단위의 “정보화 담당자", 혹은 “문서 수발 담당자" 등 문서의 흐름을 통제할 수 있는 담당이 정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담당의 경우 대외적으로 주고 받는 문서의 확인과 변환작업을 하여야 한다.

    위에서 제기된 “완벽한 문서호환”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결국 MS-오피스에서 확인하여 저장하는 수 밖에 없다.

     

    담당자를 따로 둔다는 것이 단지 문서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부서간 “업무협조전"등을 을 통한 상호 협조 업무, 대내외 문서 수발 및 보관의 2차적 책임, 즉 실무책임을  지는 “대리"급 직원은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에서는 꼭 필요한 존재이다.


  3. 소프트웨어 선정 및 배포절차
    3-1. 소프트웨어 선정  및 “표준문서"의 MS-오피스 호환성 확보
    새로운 프로그램에서 새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단지 “호환 소프트웨어"에서 열어보고 확인

    3-2. 파일럿 테스트 및 선행 교육 
    도입하기 전, 일정기간 결정된 “호환 오피스”의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전산팀 혹은 전산담당자가, MS-오피스”와 “사용법이 서로 다른 부분들을 중점적으로 교육해야 한며, 도입 후에도 정기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남겨 두어야 한다.

     

    교육측면에서 본다면  “한글과 컴퓨터"사의 “싱크프리"는 MS-오피스의 2003버전과 모양새(UI)가 동일하기 때문에 가장 좋은 선택일 것 같다. (하지만, 사용자 당 약 5만원정도의 라이센스 비용이 필요하다.)



    3-3. MS-오피스의 배치 // 계속
    - 사용자 : 정보화 담당자

    3-4. 대안 오피스의 배치 // 계속
    - 사용자 : 전체 직원

 

[남은 것]

전산팀 혹은 전산담당자의 지속적인 관리.

정기적인 교육프로그램 실시 // 계속

 

[사족]

 사실 문서작업의 표준화 이전에 ISO규정에 맞는 표준문서 제작, 부서별 특이한 양식의 문서들을 모아서 "표준문서"를 만든다는 것이 결코 쉬운일이 아니다.

하지만, 필자의 경험으로는 작은 것 부터 하나 하나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나가다 보면 금새 문서들이 통합되고 하나의 문서양식으로 사내 전체가 공유하는 것을 보아왔다.

다분히 실무적인 선에서 약간의 가이드라인만 있으면, 기업전산을 담당하는 부서 혹은 담당자가 해 낼수 있는 일이다.

 

그래서, 하나의 글에서 전체의 흐름을 보여주고, 각각의 세부단계별로 문서를 제작하려 하다보니 글이 너무 길어지는 경우가 되었다.

그러나, 내 글이 일반인들에게 맞추어진 글이 아니라 기업에서 전산을 담당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글이기 때문에 길더라도 자세히 쓰기로 하겠다.

 

약 2번의 탈고를 거쳐 완성할 예정이다

사실 글을 써 놓은지는 한참이 지났으나, 지금 올리지 않으면 계속 묵혀두고 있을 것 같아 발행하기로 했다.

 

 

[ 본 글은 "불의 신전"(http://ahura.co.kr)에서 발행한 "최종 편집본"입니다. 저작권은 아후라( ahura.co.kr@gmail.com ) 에게 있으며, 이 저작권 문구를 포함하고, 원문 훼손을 하지 않으시면 어디서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2009년 6월 29일 월요일

[뉴스] 선택된 2,000명, 네이버 블로그에도 '광고'를 달다.

[서울=불의신전] 2009년 06월 29일 15:09 / 아후라 (ahura.co.kr@gmail.com)

 

활동 블로거가 1,800만명에 달하는 국내 최대 블로그 서비스 ‘네이버 블로그(http://blog.naver.com)’에 문맥광고 상품이 도입된다.

 

따라서, 1,000명의 파워블로거들과 베타 테스터 1,000명 등 총 2,000명의 선택받은 블로거들은 출판이나 강연 등으로 인한 부수입뿐만 아니라 방문자의 광고 클릭으로 인한 직접 수익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이용자들의 지속적인 요구를 반영해 문맥광고의 도입을 결정했지만, 블로그가 과도하게 상업화될 우려 또한 제기되고 있는 만큼 향후 지원 범위와 광고 게재 영역 및 일반 블로그에 대한 적용 등 구체적인 서비스 방식은 시범 서비스 결과를 토대로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NHN(대표이사 사장 김상헌)의 NO.1 검색 포털 사이트 네이버(www.naver.com)는 우수 블로거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네이버 블로그에 자체 개발한 문맥광고를 장착키로 하고, 2,000명을 대상으로 30일부터 시범 서비스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08 파워블로거 1,000명은 이달 말일부터 자신의 블로그에 광고를 달 수 있게 되며, 나머지 베타 테스터 1,000명은 30일부터 다음달 14일까지 지원(만 20세 이상)을 받아 17일 최종 대상자를 선발할 예정이다.

 

테스터로 선발된 우수 블로거들은 네이버 문맥광고 서비스 가입 후 ‘블로그 관리’ 메뉴에서 포스트 하단이나 사이드바에 위젯 형태로 광고를 직접 삽입(최대 3개까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광고 관리 페이지에서 수입내역과 클릭율, 광고영역, 개인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관리할 수 있다.

 

광고료는 해당 키워드의 단가 및 클릭율에 따라 달라지며, 적립된 수익은 한 달 단위(최소 300원 초과)로 등록한 계좌에 직접 입금된다.

 

NHN 최인혁 유저서비스본부장은 “우수 이용자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지원 차원에서 독립 블로그나 설치형 블로그에 지원되던 문맥광고 기능을 도입하기로 했다”며 “앞으로도 블로그·지식iN 등 UGC(User Generated Content) 플랫폼에서 양질의 정보를 나누며 세상과 소통하는 파워 유저들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계속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는 검색광고 상품 클릭초이스의 지식iN 문맥광고를 통해 효과성과 안정성을 검증하고 이를 블로그 영역으로도 확대함으로써, 인벤토리(광고자원) 확장과 광고주 저변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시범 서비스에 참여하는 파워 블로거들과 테스터들의 블로그 페이지뷰가 월 평균 1억 4천만 건을 넘어설 것으로 집계되는 만큼 광고주들도 더욱 효과적인 광고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Copyright ⓒ 불의신전 (http://ahur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09년 6월 12일 금요일

[시스템] 폭풍의 핵 - 무료 백신 Morro(모로) 베타 출시 - (기업용) 프리웨어

[ 추가 : 현재 영문판만 제공되고 있으며, 2010년 초 한글로 출시한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2009년 12월 15일]

[ 공식 홈페이지 :  http://www.microsoft.com/security_essentials/ 

 익스플로러를 제외한 "크롬" "파이어폭스"등으로 접속하면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직접 다운로드 링크 제공 : http://snoopybox.co.kr/1047 스누피님 ]


2009년 6월 30일, 마이크로소프트가 무료백신 ‘모로(코드명)’ 베타서비스를 시작한다.

기업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백신프로그램이 전무하다시피한 현 상황에, 공룡기업 MS에서 드디어 무료백신의 칼을 빼 들었다.

 

기사 : MS, 무료백신 ‘모로’ 30일 출시 - ZDNet Korea

참고 : Facts about OneCare - Live OneCare 공식 블로그

 

 

[문제 - 국내 보안업체들의 수익원이 사라질 수 있다.]

현재까지의 무료백신은 거의 “개인용 프리웨어"만 존재했었다.

(V3Lite, 알약, 네이버 PC그린, 야후 실시간 무료백신, Avast, AntiVir, AVG 등)

 

백신테스트 기관으로 유명한 Virus Bulletin에서 소개되어 있는 상위업체들 중에서 개인사용자 이외의 기업사용자에게까지 무료로 백신을 제공해 주는 회사는 없다. (이전에는 AVG가 기업용으로도 무료제품을 제공하였으나 현재는 개인용 프리웨어로 라이센스를 바꾸었다.)

 
하지만, 이제는 기업용이든 개인용이든 윈도우를 탑재한 컴퓨터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Morro(이하 “모로”)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참고 : Microsoft preparing to release free anti-virus software – Neowin.net

( 발췌 : Microsoft's new anti-virus software will be free to Windows users, meaning that it, like Internet Explorer - 인터넷 익스플로러처럼, 윈도우 사용자들에게 무료료 제공된다. )

 

애써 외면하려 들지만, 이 사건은 국내 보안업체들에게는 진정코 “폭풍의 핵”이다.

( 참고 : 보안업계, MS 무료백신 "별일 아냐" - ZDNet Korea )

기사의 내용에 “사후관리가 부족하면 바로 한계가 드러날 것”, “세계 각종 백신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국내서 모로는 아직 후발주자일 뿐, 파장은 적을 것"이라고 말하는데…

 

MS는 사후관리가 부족할 것이라고 예측하고는 낙관해 버리는 이유를 도저히 알 수가 없고,

기업에서도 쓸 수 있는 무료 백신제품이, 후발주자라는 관점에서 파장이 적을 것이라고 애써 생각하는 것도 이상하다.

 

백신업체의 수익원은 “기업용 유료제품”일 수 밖에 없다. 그 수익도, 100만원대의 “서버버전”이 아니라, “1인당 2~3만원/1년”의  비용을 받을 수 있는 개인용 제품의 비중이 훨씬 높다.

 

얼마전 V3가 빠른 속도 등를 무기로 해외시장을 개척한다는 기사를 보았으나, 이번에 MS가 들고나온 가장 첫 장점도 “빠른 속도" 및 “가벼움"이다. 그것도, 전세계 시장에 일시에 출시한다.

 

국내 백신소프트웨어 제조업체들은 어떤 수익구조로 사업을 지속할 수 있을지.. 심히 걱정스럽다.

 

 

[마치며..]

작년 말쯤 소식을 접하며, 크게 주목하지 않았으나, 베타버전의 출시소식을 들으며 라이센스를 다시 조사해 보았다.

명확히 “기업사용자들에게도 무료로 제공된다”라는 부분은 정식 출시때까지 기다려야 할 것 같지만, 여러 정황과 무료제공의 목적을 보며, 거의 확신이 들어서 글을 쓰게 되었다.

 

그리고, 윈도우 라이브의 연계선 상에서 제품이 제공되어 질 확률이 가장 많다. 그렇다면, 라이브 관련 제품의 라이센스를 승계하게 될 것이다.

또, MS가 무료로 발표한 제품에 “개인에게만 무료"로 제공되는 제품은 이제껏 없었다.

 

참고)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라이센스 문의를  참고해 보시기 바란다.

 

----------------------------------------------------------- 문의 메일

귀사의 윈도우 라이브(live.com)서비스 사용에 대한 문의를 드립니다.

라이브의 다운로드 홈페이지(http://download.live.com)의 무료 프로그램
(라이브메신저 / 라이브메일 / Writer / 사진갤러리 / 무비메이커 베타 / 툴바) 및 이와 연동되어 있는 라이브 홈페이지 내  사진, 스카이드라이브 등의 서비스 이용에 관한 문의입니다.

 

1. 장소
가정에서의 개인적인 사용 뿐만 아니라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무실에서 사용이 가능한가요?

 

2. 사용자
기업내에서 업무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회사원들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가요?

물론 소프트웨어의 리버스 엔지니어링 목적이나, 번들제공, 판매의 목적은 아닙니다. 단지 사용하는 것에 대한 문의 입니다.

 

모든 제품이 동일한 사용조건이 아니면 각각의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에 대한 제한사항을 답변해 주십시오.

 

RE: SRX1097045036ID --------------------- 답변 메일 (담당 이름은 삭제하였습니다.)

,,,

고객님께서는 Windows Live 제품을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무실에서 업무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는 문의를 주셨습니다.
Windows Live 제품에 관심을 갖고 문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객님께서 문의를 주신 Windows Live 제품은 무료 프로그램입니다.
그러므로 사용하시는 장소와 사용자에 관계없이 설치하여 이용하셔도 됨을 말씀 드립니다.
고객님께 도움이 되는 답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참고 : 기업용 무료백신으로는, 방화벽 소프트웨어로 유명한 코모도사Comodo Antivirus이 있다.

 

[ 본 글은 "불의 신전"(http://ahura.co.kr)에서 발행한 "최종 편집본"입니다. 저작권은 아후라( ahura.co.kr@gmail.com ) 에게 있으며, 이 저작권 문구를 포함하고, 원문 훼손을 하지 않으시면 어디서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