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백업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백업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12월 20일 일요일

[웹서비스][온라인 백업] 심볼릭링크를 이용한 DROPBOX이용 - Windows Server에서도 이용가능

[작업데이터를 온라인 백업(및 동기화) 할 수 있는 DropBox서비스 소개와 특정한 폴더를 기본공유 폴더에 추가할 수 있는 심볼릭링크에 대해서 알아본다.]

[작업내용]
1. 온라인 실시간 백업(동기화)할 폴더 생성 /  "My Dropbox"의 위치설정
2. 원하는 다른 폴더를 "My Dropbox"의 하부 폴더로 링크 (Dropbox 의 단점 보완)
3. 설정
 - 필요 서비스, 프로그램 : Dropbox.com(가입필요), Junction 1.05
 - 작업폴더 : E:\Work
 - 온라인 백업 폴더 : E:\My Dropbox


[Dropbox서비스 소개]
1. 개요
 - 가입 : 프로그램 설치시 E-Mail 주소만으로 가입 / 가입 및 다운로드 : 아후라 초대주소
 - 프로그램 설치환경 : Windows XP 이상, 서버 2003 이상의 서버버전도 가능함
 - 용량 : 2기가(무료) / 추가 유료서비스 있음
 - 방식 : 1개의 기본폴더를 공유하여 온라인상으로 백업/동기화
 - 기타 : 업로드 속도는 초당 100KB~200KB 혹은 그 이하.
 - 기본적인 소개 : 여러 컴퓨터에서 파일 공유 Dropbox / jwmx님

2. 설정 사항
 - 프로그램 설치시 "My Dropbox"폴더를 생성할 때 드라이브 최상부(예:"Data (E:)")를 클릭하면 "E:\My Dropbox"라는 폴더가 생성된다.
 - 트레이에 상주하는 아이콘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클릭하여 설정화면으로 가면 "Dropbox 공유폴더"를 변경할 수 있다.

[스크린샷 - 트레이 아이콘]

[스크린샷 - 공유폴더 설정화면]

참고 : 하드디스크를 통째로 C:로 쓰는 것보다 설치시 파티션(C:, D:, E: 등)을 나누어 데이터를 보관하는 것이 좋다.
(아후라는 C:는 윈도우 / D:는 프로그램(주로 포터블) / E:는 작업데이터, 참고자료, 다운로드 등의 데이터 보관)


[ Junction v1.05 - 2000/XP/2003에서 심볼릭 링크만들기]

다운로드 : Junction v1.05
소개 링크 : http://technet.microsoft.com/en-us/sysinternals/bb896768.aspx //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넷
설명 : http://westzero.net/30 // 서영이네집
명령 : junction "e:\My Dropbox\Work" e:\Work (명령 : junction "링크로 만들어지는 폴더" "실제 작업폴더")

[스크린샷 - 작업폴더와 소프트링크폴더 생성하는 화면]

[스크린샷 - 결과화면]


[사족]
집에서는 윈도우XP가 아니라 윈도우서버 2003 R2버전을 사용하고 있다.
윈도우 7과 듀얼 부팅을 해서 사용하고 있으나, 작업속도가 아무래도 윈도우서버 2003 R2버전이 빠르다.
[ 컴퓨터 사양 : P4 3.0 / RAM 2G / GeForce 6600 / Seagate 320G ]

윈도우 서버에서는 일반적인 프로그램은 무리없이 사용이 가능하지만, 서버 버전에서는 설치되지 않는 프로그램이 종종있다.
대표적으로 바이러스 백신이 그렇다.
바이러스 백신은 서버용 버전을 기본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XP호환성모드로 작동하는 것도 있기는 하다.)

기본적인 오피스 프로그램, 그래픽프로그램, 멀티미디어 프로그램들은 크게 이상이 없이 작동을 하지만,
설치프로그램이 서버 버전에서는 아예 작동을 하지 않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 네이버 N드라이브 탐색기
- Windows Live Mesh (설치는 되나,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인데 사무실과 집의 작업데이터를 공유하는 서비스로, 현재 가장 유용하게 사용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인데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별수 없이 다른 대안을 생각해야 했고, DropBox 와 심볼릭 링크로 해결했지만 조금 아쉬움이 남는다.
외국의 서비스들은 공통적으로 다운로드 및 업로드 속도가 느려서 몇 메가 이상의 대용량 파일을 싱크할 때 혹은 많은 파일들을 전송할 때 불안하다.
컴퓨터를 끌때는 싱크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기 바란다.

[스크린샷 - 싱크가 완료되었을 때 위와 같은 메세지가 뜬다.]

2009년 5월 31일 일요일

[용어] 온라인 스토리지 / 온라인 백업, 웹공유(P2P), 웹 오피스 [2부]

[사족]

기업환경에서는. 도입하는 서비스의 “가격”보다는 “안정성”, 제공하는 “회사의 인지도”, “서비스의 지속가능성”이 도입결정에 더 큰 영향을 준다.

 

갑자기 제공하던 회사가 없어지거나, 중요한 때 접속이 자주 끊기는 서비스는 저렴하더라도 기피대상이며, 다른 업체에 알려주기 쉬운 회사(서비스)를 거의 필수적으로 선택하게 된다.

이를테면, 웹하드 서비스를 하는 회사는 많아도, 거래업체에게 그냥 “웹하드에 올려주세요.”라고 말하면 대부분 “LG데이콤의 웹하드”로 알아듣고 거기에 지료를 올려준다.

 

그런 관점에서, 어떠한 서비스의 “대명사" 혹은 “대표업체”가 되는 일은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기업의 입장에서 정리하고 있기 때문에, “제공사”는 개인이 운영하거나 갓 생긴 “신생업체”는 소개하지 않는 것으로 하겠다.

 

[개요]

  1. 온라인 백업 


    - 정의
    자료을 단순히 온라인 상에 스토리지에 전송해서 보관하거나, 특정 폴더들을 “실시간” 혹은 “주기적”으로 동기화시켜, 온라인상에 백업본을 만들어 놓는 서비스

    - 설명
       자료교환의 목적보다는 작업하는 자료들의 백업, 동기화를 목적으로 한며, 다음의 3가지 형태가 있다.

    * 단순저장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윈도우 탐색기 상의 드라이브로 연결해서 일반적인 윈도우 사용법과 동일하게 자료들을 복사 할 수 있는 기능
    * 실시간 백업
    트레이 등에서 프로그램이 상주하며, 지정된 폴더의 변경상황을 감시하고 있다가 자료가 추가, 수정이 되면 온라인 저장공간으로 동기화해 주는 기능 
    * 주기적 백업
     일정시간 간격으로 자동으로 온라인에 있는 데이터와 동기화 해 주는 기능

    참고 : 웹하드업체의 전용프로그램에서는 모두 “주기적인 백업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 제공사

    단순 저장
    : 세컨드라이브(나우콤), 웹집(케이앤피네트웍스/넷폴더), 스카이드라이브(MS), 주모(Zumodrive)
    실시간 백업
    : 라이브메시(MS), 카보나이트(Carbonite)
    주기적 백업
    : 웹하드(LG데이콤), KT하드(KT), 비즈하드(이스트소프트), V3웹하드 백업폴더(안철수연구소), 싱크프리 파워툴(한글과 컴퓨터), ADrive(ADrive LLC)
    .
  2. 웹공유(P2P) 


    - 정의

        원래 “개인간 공유"가 주목적이었으나, 현재는 “P2P업체”를 통한 “단체와 개인”간의 파일공유 시스템으로 더 알려져 버렸다. (기업에서 도입하기에는 “보안"상 적합하지 않다.)

    - 설명
        좁은 의미에서 주로 개인간 PC끼리 연결해서 사용되던 P2P가 점차 변질되서, 개인들 여러명(클럽)이 업체의 “온라인 저장공간”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파일을 제공하는 형태가 되었다. 그런 클럽에게 “온라인 저장공간"을 지원하는 업체가 늘어나면서 이들 업체를 “P2P업체”라 부르기 시작했다. ( 사실상 진정한 “P2P”의 의미는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실제 P2P의 원래 의미를 계승한 것은 “비트토렌토(BitTorrent)”라 불리우는 서비스 혹은 프로토콜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공유되는 파일은 특정한 업체가 제공하는 서버가 아니라, 처음 파일을 업로드한 “업로더”와 그것을 받아서 다시 나누어 주는 “공유자”의 컴퓨터 내에서 존재하게 된다.
    ( 참고 : 비트토렌트 – 위키백과 )

    - 제한
       대부분 업로드는 무료로 제공하고 다운로드시 용량에 따라 일정액의 금액을 차감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론 정액제도 있다.)
    또, 대부분 저장기간의 제한이 있다. (업로드일로부터 30일간 보관 등의 제한)

    - 제공사

       따로 소개하지는 않겠다.
    .
  3. 웹오피스


    - 정의

        온라인 상에 문서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문서작업용 소프트웨어도 웹상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 설명

       대표적인 웹오피스로는 구글 문서(Google Docs), 조호(zoho), 싱크프리(한글과 컴퓨터)가 있다.
    또한, 세롭게 온라인 웹오피스 사업에 뛰어든 (주)테크다임의 “우리오피스"가 있다.

    얼마전 네이버에서도 싱크프리와 협력하여 웹오피스를 제공하려 했으나 무산된 바 있다.
    또 ”한글과 컴퓨터”에서도 “한글 2002”버전을 이용한 “넷피스"라는 서비스를 제공한 적이 있으나, 현재는 서비스를 중단한 상태이다. (영역이 중복되는 “싱크프리”의 국내서비스 개시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온라인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필수이기 때문에 거꾸로, 온라인 스토리지회사의 부가서비스로 존재하기도 한다. (box.net의 경우 싱크프리 오피스의 API를 이용하여 제공하고 있다.)

    - 제공사
    직접 제공 : 구글 문서(Google Docs), 조호(zoho), 싱크프리(한글과 컴퓨터), 우리오피스(테크다임)
    서비스 형태 : box(box.net)

 

[참고 - 3부에서 소개할 서비스]

1. 서비스 기반 소프트웨어 (SaaS, ASP)

2. 그리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

 

[ 연재글 ]

1부 : [용어] 온라인 스토리지 / 웹하드, 파일 호스팅, 이미지호스팅=웹앨범 [1부]

 

[ 본 글은 "불의 신전"(http://ahura.co.kr)에서 발행한 "최종 편집본"입니다. 저작권은 아후라( ahura.co.kr@gmail.com ) 에게 있으며, 이 저작권 문구를 포함하고, 원문 훼손을 하지 않으시면 어디서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