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애드클릭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애드클릭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6월 4일 목요일

[거꾸로보기] 애드포스트 - 네이버 블로그로 일반 블로거는 수익을 낼 수 없다???

[개요]

아래의 공지처럼 네이버의 블로그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그러나..

일반 블로거들이 수익을 얻을 수 있을까? 부정적인 결론이 나왔다.

 

먼저.. 6월 이후에 개선되었거나, 개선 될 기능들을 살펴보자.

 

[네이버에 공시된 블로그 기능개선 프로젝트 - 1차 공지]

[네이버에 공시된 블로그 기능개선 프로젝트 - 1차 공지]

 

링크 : 1차 공지

링크 : 2차 공지

 

[개선 내용]

  1. 이웃확장 및 이웃새글 개선

    어떤 형태로 이루어질까 했는데..결국 네이버회원 중심 RSS서비스 비슷하게 마무리 되었다.
    역시나 네이버답게 폐쇄형 RSS.. (서비스의 출발점이 결국 네이버 사용자이기 때문.)
    참고 링크 : 확장되는 네이버 블로그, 그 타격은 티스토리? – Blog In Issue
    .. 링크에서는 네이버의 폐쇄성을 보완한다는 내용이지만, 제가 보기에는 결국 네이버에 로그인을 해야만 모든 기능이 작동하기 때문에 여전히 폐쇄적이라고 보인다.
    .
  2. 적용 가능한 위젯 범위확대
    게시한 대로 다음 위젯뱅크, 위자드팩토리와 제휴해서 간단히 위젯을 붙일 수 있다.
    근데.. 이 기능은 별로 생색낼 게 없는 것 같은게..

    이미 타 서비스의 경우 오래 전부터 지원한 것이기도하고,
    블로거의 수익과 관련된 것은 아예 막고 있기 때문이다. (애드센스, 애드클릭스 등 불가)
    참고 링크 : 위젯직접등록 기능을 통해 등록 가능한 위젯 코드 - 네이버 고객센터
    .
  3. 블로그 API
    가장 기대하고 있는 기능이다. (왜 기대했는지는 .. 아래 [사족]편에서..)
    라이브라이터로 글을 쓰기 때문에 정말 필요했던 기능이다.
    예전, 포털소속 서비스 중에서는 유일하게 블로그API를 지원했던 엠파스외에는 처음이기도 하고 현재 유일하기도 하다. (독자형 서비스인, 티스토리, 이글루스 등은 논외)
    .
  4. 남은 것.. 블로거의 광고수입…
    어느새.. 스르륵 “애드포스트"라는 이름을 내걸었다.
    광고주 입장에서는 네이버에서 직접 진행하는 키워드 광고인 “클릭초이스"의 확장형이다.
    파워블로거 1,000명과 베타 신청자 1,000명만 선별해서 6월 30일부터 베타오픈된다.
    참고 : [공지] 클릭초이스 광고 노출 영역 확장 안내

    근데…. 어디를 봐도 일반블로거들에 대한 공지는 없다.
    최악의 경우 일반 블로거들한테는 개방을 안 할 수도 있다.(에이 설마..??)

    다시 확인해 봐도 그렇다.

    1차 : 문맥광고 지원을 통해 블로거가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 (그냥 두리뭉실.. 블로거??)
    2차 : 6월 중 네이버 블로거를 대상으로 베타테스터를 모집할 예정입니다. 
    4번 글의 링크를 따라가면 파워블로거+베타테스터=2,000곳에 광고를 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향후 전체 블로거로 확장을 한다 등의 말이 없다.

    그렇다면… 네이버가 지정한 일부 블로거들만 광고를 할 수도 있다는 것.. (역시 네이버답다.)

    일단, 정확한 정책이 나올 때까지 기대는 말자. ㅠ.ㅠ
    .

침고 : [사족]이라는 부분은 제 넑두리성이 강한 글이니 읽지 않으셔도 상관없습니다.

[사족]

본래 “불의 신전"초고를 MS의 라이브스페이스에서 하기로 마음을 먹고, 스크랩 용도로 사용하고 있었다. 근데.. 인간적으로.. 너무 느리고 분류 정리가 잘 되지 않는다.

그래서 .. 티스토리에서 하려고 마음을 먹었으나.. 그것도 별로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 요즘 들어 자주 서버가 다운이 될 뿐더러, 파일첨부에 대한 링크가 바뀌는 등의 이상한 현상이 있다.

나만 그런가 했는데 그것도 아닌 것 같다. 그림파일의 링크가 바뀌기도 하고, 파일첨부명이 제멋대로 바뀌기도 한다. (왜 그렇게 하는지는 실은 이유를 알고 있다. ^^)

 

그래서 가장 안전하다고 느낀 것이 포털 서비스내의 블로그인데.. 내가 글을 쓸 때 필수적으로 이용하는 “라이브라이터"를 지원을 안했으니 대안이 없었다.

( 아마, 네이트와 합병되지 않았으면, 지원이 되는 엠파스의 블로그를 이용했을 것 같다.)

 

네이버에서 블로그 API를 사용할 수 있다니, 이제 대안이 생기나 싶다.

(그리고.. 무제한 사진첨부, 그리고.. 사진 하나당 10MB라는 것이 결정적이었다.)